전체 글

more

[Spring Framework] 예외 처리 - 뷰를 반환할 때

순수 서블릿 컨테이너의 예외처리 순수 서블릿 컨테이너는 두 가지 방법으로 예외를 처리한다. Exception response.sendError(HTTP 상태코드, 오류 메시지) Exception 자바코드를 실행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자바의 메인메서드를 실행했을 때 main이라는 이름의 메서드가 실행되고, 실행 도중에 발생한 예외를 잡지 못해서 처음 실행한 main메서드까지 예외가 던져지면 예외 정보를 남기고 스레드가 종료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 요청별로 스레드가 할당되고 서블릿 컨테이너 안에서 예외가 처리된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외가 발생하여 try-catch문으로 처리했다면 괜찮지만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외를 처리하지 못하고 서블릿 밖으로 예외가 전달되면 WAS까지 예외가 전달된다. WAS..

Spring MVC 2023.05.25 0

[Spring Framework] 로그인, 쿠키와 세션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로그인 한 사용자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어떤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해서는 쿠키와 세션이라는 두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쿠키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쿠키 값을 넘기고, 브라우저가 이를 기억하고 있다가 다음에 서버에 요청할 때 HTTP 요청메세지에 쿠키를 함께 담아서 요청하는 방법이고, 세션은 세션 아이디를 서버가 기억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세션 아이디가 넘어오면 정보를 조회해서 응답하는 방법이다. 세션도 정보식별을 위해 쿠키를 사용한다. 쿠키 사용하기 쿠키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서버가 HTTP 응답에 쿠키를 담아서 브라우저에 전달하면 브라우저가 앞으로 요청을 보낼 때마다 요청 메시지에 쿠키를 담아 요청하는 방법이다. 쿠키에는 두 종류가 있다. 영..

Spring MVC 2023.05.21 0

[Spring Framework] Bean Validation

코드를 이용해서 모든 Validation 에러를 처리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다. 필드에러 같은 경우에는 빈 값을 입력하거나 올바른 범위를 입력하지 않은 간단한 에러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럴 때는 매번 받아온 데이터를 직접 자바 코드로 작성해서 검증하기보다는 Bean Validation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면 좀 더 간편하게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Bean Validation을 소개하고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단점과 해결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an Validation 이란? Bean Validation 이란 특정한 구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Bean Validation 2.0(JSR-380)이라는 기술 표준을 의미합니다. 검증기능을 위한 검증 애노테이션과 여러 인터페이스들이 모여있습니다. ..

Spring MVC 2023.05.19 0

Spring

more

[Spring Framework] 예외 처리 - 뷰를 반환할 때

순수 서블릿 컨테이너의 예외처리 순수 서블릿 컨테이너는 두 가지 방법으로 예외를 처리한다. Exception response.sendError(HTTP 상태코드, 오류 메시지) Exception 자바코드를 실행하다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자바의 메인메서드를 실행했을 때 main이라는 이름의 메서드가 실행되고, 실행 도중에 발생한 예외를 잡지 못해서 처음 실행한 main메서드까지 예외가 던져지면 예외 정보를 남기고 스레드가 종료된다.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사용자 요청별로 스레드가 할당되고 서블릿 컨테이너 안에서 예외가 처리된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외가 발생하여 try-catch문으로 처리했다면 괜찮지만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외를 처리하지 못하고 서블릿 밖으로 예외가 전달되면 WAS까지 예외가 전달된다. WAS..

Spring MVC 2023.05.25 0

[Spring Framework] 로그인, 쿠키와 세션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로그인 한 사용자의 상태를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어떤 사용자인지 식별하기 위해서는 쿠키와 세션이라는 두 가지를 이용할 수 있다. 쿠키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쿠키 값을 넘기고, 브라우저가 이를 기억하고 있다가 다음에 서버에 요청할 때 HTTP 요청메세지에 쿠키를 함께 담아서 요청하는 방법이고, 세션은 세션 아이디를 서버가 기억하고 있다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세션 아이디가 넘어오면 정보를 조회해서 응답하는 방법이다. 세션도 정보식별을 위해 쿠키를 사용한다. 쿠키 사용하기 쿠키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서버가 HTTP 응답에 쿠키를 담아서 브라우저에 전달하면 브라우저가 앞으로 요청을 보낼 때마다 요청 메시지에 쿠키를 담아 요청하는 방법이다. 쿠키에는 두 종류가 있다. 영..

Spring MVC 2023.05.21 0

[Spring Framework] Bean Validation

코드를 이용해서 모든 Validation 에러를 처리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다. 필드에러 같은 경우에는 빈 값을 입력하거나 올바른 범위를 입력하지 않은 간단한 에러들이 대부분입니다. 이럴 때는 매번 받아온 데이터를 직접 자바 코드로 작성해서 검증하기보다는 Bean Validation이라는 기술을 사용하면 좀 더 간편하게 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습니다. Bean Validation을 소개하고 사용하는 방법, 그리고 단점과 해결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ean Validation 이란? Bean Validation 이란 특정한 구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Bean Validation 2.0(JSR-380)이라는 기술 표준을 의미합니다. 검증기능을 위한 검증 애노테이션과 여러 인터페이스들이 모여있습니다. ..

Spring MVC 2023.05.1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