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

역할과 책임

소재훈 2021. 9. 26. 00:19

관심사의 분리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공연이라 생각하고 각각의 인터페이스를 배역(배우 역할)이라 생각하자. 그런데 실제 배역에 맞는 배우를 선택하는 것은 누가하는 것일까?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을 하면 로미오, 줄리엣 역할을 누가할지 결정하는 것은 배우들이 정하는 것이 아니다. 로미오 역할(인터페이스)을 하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구현체, 배우)가 줄리엣 역할(인터페이스)을 하는 여자 주인공(구현체, 배우)을 직접 초빙하는 것과 같다. 디카프리오는 공연도 해야하고 동시에 여자주인공도 공연에 직접초빙해야하는 다양한 책임을 가지고 있다

 

관심사를 분리하자

1. 배우는 본인의 역할인 배역을 수행하는 것에만 집중해야 한다.

2. 디카프리오는 어떤 여자 주인공이 선택되더라도 똑같이 공연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공연을 구성하고, 담당 배우를 섭외하고, 역할에 맞는 배우를 지정하는 책임을 담당하는 별도의 공연기획자가 나올 시점이다.

4. 공연 기획자를 만들고 배우와 공연 기획자의 책임을 확실히 분리하자.

 

의존관계에 대한 고민은 외부에만 맡기고 실행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한다.

 

이때 주입받는 입장에서 보면 의존관계를 마치 외부에서 주입해주는 것 같다고 해서 DI(Dependency Injection) 이라고 한다. 의존관계 주입, 또는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Back-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  (0) 2021.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