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file, Xcode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pod 파일을 생성하고 xcode프로젝트에 포함시켜보자
먼저 터미널로 프로젝트 폴더에 접근한다.
pod init 명령어로 pod파일을 초기화 할 수 있다.
pod init
pod init 명령을 수행하면 폴더 내에 Podfile이 생성된다.
생성된 pod파일을 우클릭으로 열어 기본프로그램을 Xcode로 설정해주면 다음과 같은 podfile이 열린다.
CLTypingLabel
UILabel with character by character typing animation in swift iOS/OSX
cocoapods.org
우리가 cocoapods 에서 적용할 것은 CLTypingLabel로 글자에 타이핑이 되는 듯한 애니매이션을 주는 효과이다. 이 pod는 text animation을 보여줄 수 있는 코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pod파일을 적용하기전에 먼저 생성된 pod파일을 먼저 살펴보자. pod파일은 기본적으로 Ruby로 작성된다.
두번째 라인에 적혀있는 숫자는 최소 지원되는 iOS 버전을 의미한다. 두번째 줄의 주석 기호(#)도 제거해주자.
CLTypingLabel지침에 보면 pod 파일에
pod 'CLTypingLabel'을 추가하라고 되어있다.
추가해 준 후 파일을 저장(⌘ + S)하고, 터미널에서 pod install을 시켜준다.
그런데.... 에러가발생했다.
찾아보니 애플실리콘에서는 cocoapods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라고 한다. 다음 링크를 참고해 해결하였다.
pod install을 수행하고 나면 새로운 파일들이 추가되어 있다.
생성된 xcworkspace파일이 지금부터 사용할 파일이다.
파일을 열어보면 파일의 구조가 기존의 프로젝트 파일과 같으나, Pods파일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글에서 Pods파일을 어떻게 사용하고 업데이트 하는지를 알아보자.